본문 바로가기
알아야할 뉴스(News to know)

군인 계급, 군인 월급, 장교, 준사관, 부사관, 병사의 모든 것!!

by 부자아빠를 찾아서 (richdad) 2022. 8. 28.

 군대 계급

군 조직은 상하 관계와 지휘 계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만든 제도입니다.  한국군의 계급 체계는 장교·준사관·부사관·병사로 나누어집니다. 

 

출처 : 네이버지식백과

 장교는? 장교의 월급은?

장교는 위관급 이상의 계급에 속하는 간부를 총칭하는 말로 부사관과 병을 지휘합니다.  장교는 원수(元帥), 대장, 중장, 소장, 준장, 대령, 중령, 소령, 대위, 중위, 소위로 나뉘고 위관급 장교는 준위 - 소위 - 중위 - 대위로 나뉩니다. 영관급 장교는 소령 - 중령 - 대령 으로 나뉘고,  장성급 장교는 준장 - 소장 - 중장 - 대상 - 원수로 나뉩니다. 

 

 

출처 :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 임관시 소위 계급으로 임관하게 되며, 소위는 소대장을 중위는 소대장·부중대장을 대위는 중대장·대대참모 등을 보직을 받습니다.  위관급 장교의 다이아몬드는 단단하면서도 깨지지 않는 것을 상징합니다.  소령은 동원대대장, 부대대장을 중령은 대대장, 동원연대장을 대령은 연대장, 부사단장, 부여단장을 영관급 장교의 대나무는 사계절 내내 푸르름과 굳건한 기상, 절개를 상징합니다.

장군은 참모총장, 각 군, 군단, 사단, 여단급의 지휘 체계를 담당하는 군 최고 지휘관들입니다. 장군은 사령관으로 부르며 소장은 사단장을 중장은 군단장, 각 군 본보의 참모차장 등을 받습니다. 다만 한국군 창설 이후 아직까지 원수 계급을 받은 군인은 없습니다.  장군의 계급장의 별은 스스로 빛을 내를 천체로 군에서의 모든 경륜을 익힌 완숙한 존재를 상징합니다. 

 

출처 : 국방부 / 2022년도 봉급표
출처 : 국방부 / 2022년도 봉급표

 준사관은? 준위 월급은?

준사관은 준위 준사관은 특수한 군인 계급으로 준위라고 부르며,  부사관으로 입대하여 상사 이상의 계급이 되어야 준위로 지원 가능합니다. 군대에서 전문적인 업무 보직을 맡습니다. 부사관 원사 위이며 장교의 소위 아래입니다. 

출처 : 대한민국 육군

 

 부사관은? 부사관 월급은?

 

출처 : 대한민국 육군

부사관은 원사, 상사, 중사, 하사 군대에서 장교와 병 사이 계급으로 장교와 병 사이 중간다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사는 분대장(병사 1개 팀의 장)을, 부소대장은 1개 소대에서 소대장의 직근 보좌하며, 중사는 부소대장, 훈련소의 중대장(병사 훈련소의 1개 중대의 장)을,  상사는 중대 행정보급관(1개 중대의 지원), 대대 관리관(1개 대대의 지원, 관리관)을 보직을 맡습니다. 

 

 병사는? 병사의 월급은?

 

출처 : 대한민국 육군

병사는 병장, 상등병, 일등병, 이등병으로 구성됩니다. 대한민국 남성이 군대를 가면 가장 많이 알고 있고 많이 보았고 들었던 계급입니다. 병사의 계급장의 모습은 지구 구성 요소인 4개의 층을 표시한 것으로 복종·단결·전우애를 바탕으로 군인정신을 상징합니다.  계급이 오를수록 전투능력의 향상 및 임무 수행의 숙달을 뜻합니다. 

 

 

 대한민국은 징병제

징병제란? 군대를 유지할 목적으로 국민에게 병역을 강제적으로 수행하게 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징병제를 실시하는 국가는 31개국뿐"이며 세계적인 추세는 모병제로 바뀌고 있습니다.  병사의 계급은 대한민국 모든 남성들이 군에 입대하면 주어지는 계급입니다. 

개인적으로 대한민국 군대도 모병제로 탈 변환하여 사람이 주가 아닌 무기가 주가 되는 전투에 임하여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소총을 들고뛰는 각개 병사가 아닌 버튼 하나만으로 적 주요 공격타격을 하는 특수임무 병사를 모병제로 늘리는 것입니다. 

 

 대한민국 국군의 날

1950년 10월 1일은 한국군이 남침한 북한 공산군을 반격한 끝에 38선을 돌파한 날로서, 이 날의 의의를 살리기 위하여 국군의 날로 지정하였습니다. 한국군의 위용과 전투력을 국내외에 과시하고 국군장병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지정되었습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대한민국 모든 국군장병 여러분,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