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이야기(Stay healthy)

수족구병(손발입병) 증상, 원인, 치료, 잠복기, 치료방법

by 부자아빠를 찾아서 (richdad) 2022. 8. 28.

출처 : 서울아산병원

 

 

 수족구병이란?

Hand, foot and mouth disease(수족구병)이라고 합니다. 주로 4세 이하의 소아에게 발생하는 손, 발의 발진과 입안의 궤양성 병변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장바이러스의 일종인 콕사키 바이러스 A16 또는 엔테로바이러스 71에 감염(뇌수막염이나 뇌염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도 있습니다)되어 생긴다고 합니다. 

 

 원인은?

수족구병의 원인은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 수포의 진물 등으로 비말 감염이 됩니다. 분변 등에서 경구 감염이 되기도 하고 감염된 환자와 접촉하면 약 4~6일정도 잠복기를 거쳐 권태감, 식욕 부진, 발열 등이 나타나면서 손, 발, 입안 등에 수포, 궤양 등이 생깁니다. 

 

 증상은?

어린이집에서 잘 놀던 아이가 고열이 생기고 손과 입안에 수포가 생겼어요.
입 안의 볼 안쪽, 잇몸, 혀에 작은 붉은 반점이 있어요.

혀, 입천장, 잇몸, 입술 등에 수포 등이 생길 수 있고, 목젖 주변을 포함하는 연구개 부위에 점막 궤양이 잘 생깁니다. 심한 통증을 호소하기도 하며, 입안이 맵다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궤양의 크기는 4~8mm 정도 되며, 음식을 잘 먹지 못하고, 침을 삼키지 못해 많은 침을 흘립니다. 고열을 동반하는 붉은색을 띤 물집 형태로 손등과 발등에 발진 등이 생기고 통증이나 가려움증 등 다른 증상은 거의 없습니다.

손, 발 및 엉덩이에 피부 발진 발생할 수 있으며 팔과 다리에도 피부 발진이 생길 수 있습니다. 모든 사람에게 증상이 나타나지는 않지만, 드물게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면역체계가 아직 발달되지 않은 어린 영아의 경우 합병증 위험도가 높습니다. 고열이 심한 경우 열성 경련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무섭지만 해열제에도 잘 반응하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전파경로는?

전파되는 경로는 다양합니다. 하지만 전파경로의 가장 직접적인 것은, 환자와 직접 접촉하거나, 침 등과 같이 비말을 통해 사람 간 전파됩니다. 또한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수영장에서도 전파 가능합니다. 보육시설, 놀이터, 병원, 캠프 등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에서 전파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많은 사람이 모이는 시간대 많은 사람이 모이는 장소는 피하고, 카페에서도 마스크를 착용하여 타인과 타인의 타액, 비말을 접촉한 경우를 최대한 줄여나가면 전파경로에 해당되지 않게 될 것입니다.

 

 

 진단은?

 

출처 : 분당서울대병원 

병변이 입에만 생긴 경우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증과 감별해야 합니다. 수족구병은 대가 증상과 피부 병변을 보고 진단하는데, 분비물을 통해 바이러스 검사를 해야 확진할 수 있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이 많이 들어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통상적으로 실시하지 않습니다. 

 

 치료는?

 

출처 : 이데일리뉴스

수족구병의 증상은 대부분 3~7일 이내에 사라지고,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호전됩니다.

수족구병은 장바이러스에 의해서 생기는 질환으로, 항바이러스제 등의 특별한 치료방법은 없습니다. 

입안 통증 때문에 물이나 음식을 섭취하지 못하여 탈수가 올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탈진이나 쇼크 등이 올 수 있습니다. 환자에게 물을 조금씩 자주 먹여야 합니다.(아이가 아프더라도 꼭 수분을 섭취하게 해야 합니다.) 탈수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아이가 음식 먹는 양이 심하게 적다면 정맥으로 수액을 충분히 공급하게 합니다. 수족구병에 걸인 아이가 심하게 구토하거나, 심한 두통이 오거나, 의식이 저하되는 등 증상이 나타나면 중추신경계 합병증 방지 위해서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우리가 치료하는 방법에 대하여 공부하였지만, 가장 우선적인 것은 전파경로에서 회피하는 방법, 즉 감염을 최소화하는 생활수칙을 지키는 것이 나와 내 가족을 지키는 방법입니다. 방역 생활을 습관화합시다. 

댓글